天衾地席山爲枕

月燭雲屛海作樽

大醉居然仍起舞

却嫌長袖掛崑崙


하늘을 이불로, 땅을 자리로, 산을 베개를 삼고

달을 촛불로, 구름을 병풍으로, 바다를 술통으로 만들어

크게 취하여 거연히 일어나 춤을 추니

도리어 긴 소매자락이 곤륜산에 걸릴까 하노라.

 

-조선 명종조 진묵선사님의 싯구중에서 옮김-

 

진묵조사의 시는 고금의 승려로써

취흥이 도도할 때 읊은 시로는 가장 뱃포가 큰 유일한 시라고 합니다.

 

초의선사의 찬문에 등장하는 진묵조사는 불가의 고승이면서,

곡차( 茶=술)를 즐기는 승려였습니다

승려는 부처님이 내리신 계율을 엄수해야 하지만,

때로는 계율을 초탈하여 정신세계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초의선사는 진묵조사를 통해서 승려의 곡차문화를 미화하였습니다

 

어쨌거나 초의선사의 곡차론,

즉 진묵조사가 즐기었던 곡차의 이야기는

어둠 속에서 숨어서 음주하던 일부 승려들을 해방시켰고

불가의 새로운 곡차론은 전국에 유포되었고,

술을 마시던 승려들은 떳떳이 이렇게 말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화두가 통 들리지가 않구먼. 우리 다도나 하면서 대화나 할까?”  

“무슨 다도?”  “곡차.” “좋지.

 

"곡차의 다도는 우리같이 외로운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닌가.

견성성불 하기 위해서 삭발위승하여 부모형제를 칼로 베듯 작별하여

승려가 되어 청춘을 바쳐 수행정진 하였지만, 아직도 깨닫지 못하고….

비구승이니 처자가 없고, 무소유사상으로 중생구제에 전념하였으니

개인적인 재물이 있을 리 없지. 남루한 누데기 옷으로 감싼 몸마저 늙고

병이 들어 저승길을 생각하는데, 곡차 한 잔 아니할 수 없지…. 안 그런가?”

 

윗글은 진묵선사에 관한 글중 일부 옮겨본것입니다

진묵선사와 초의선사의 곡차에 관한 구전들은 하도 많아서

일일이 다 열거하기 어렵습니다만

곡차란 이렇게 도를 구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격의초탈한 방편의 일부로서

불가나 혹은 도가에서 수용되어 왔던 문화이기도 합니다

 

"곡차를 곡차로 마시면 곡차가 되고

술로 마시면 술이되며 물로 마시면 물이 되니....

똑 같은 물을 마셔도 뱀이 마시면 독이 되고

젖소가 마시면 우유가 되는 이치이다"

 

저같은 경우 큰스님들께 누누이 들었던 얘기입니다

 

오늘 이같이 곡차 얘기를 드리는 이유는

이제 연말 흔히 말하는 한해를 정리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한다는

망년과 신년의 회한이 교차하는 12월이기 때문에

유달리 크고작은 술자리모임이 많습니다

 

집단의식이 강한 우리나라에서는

술하나면 다 통한다는 말이 있듯이

접대나 모임 혹은 유흥에 술이 절대 빠질수 없습니다

 

불가피한 자리일수도 있지만

유흥과 술을 위한 낭비적인 술의 자리는

내건강과 내가족 혹은 내삶을 위해 가급적 피하시고

또 술을 마셔도 물을 마신듯 내 몸과 마음을 유지할수 있도록

항상 온전한 정신으로 이런 모임에 임하시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망년이라며 되돌리지 못할 지난일에 회한심으로 술에 젖어 살기보다

혹은 연말연시 남따라 장에가듯 들뜬 마음으로 술로 보내기보다는

술은 사회생활에 하나의 도구일 뿐이지 목적이 아니다는것

꼭 명심하셔서  건강관리에 유념 잘하시는 12월 평안히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