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在異鄕爲異客(독재이향위이객) 홀로 타향에서 객으로 머물며
 每逢佳節倍思親(매봉가절배사친) 좋은 절기가 될 때마다 더욱 부모를 그리워하고
 遙知兄弟登高所(요지형제등고소) 형제들이 반드시 높은 곳에 오를 것이라고 상상하니
 遍挿茱萸少一人(편삽수유소일인) 수유를 전부 꽂았는데 한 사람이 적었다.

                     당나라시인 왕유(王維)의 [九月九日、山東의 형제를 그리다.]

 중양절은 중구일(重九日)이라고도 한다. 이는 양(陽)의 수, 즉 홀수(基數) 중 가장 큰 수인 9가 두 번 겹치는 날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인들은 기수가 두 번 겹치는 날을 복된 날(吉日)이라 중히 여겼다. 한 해가 새로 시작되는 1월 1일 설날을 비롯하여, 3월 3일 삼짇날, 5월 5일 단오, 7월 7일 칠석, 그리고 9월 9일 중양절이 바로 복된 날이다.

 

  이처럼 기수가 겹쳐진 날을 기렸던 풍속은 신라 때부터 살펴볼 수 있다. 신라 때는 9일을 숭상하여 안압지 임해전이나 월상루에서 임금과 신하가 함께 노래부르며 즐겼다. 조선 세종 때에는 삼짇날과 중구일을 명절로 공인하였고, 성종 때에는 추석 때 행하던 기로연을 중구일로 옮기고 유생들에게 과거를 행하였다. 이러한 풍습이 오늘날 세시풍속으로 전해지는 것이다.

 

  삼짇날에 약신(藥神)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가 중구일에 다시 하늘로 돌아가므로, 이 날이 지나면 몸을 씻어도 덕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이 날 약수터에 가서 몸을 씻는 풍습이 있었다. 또 이 시기에 가장 풍성한 국화꽃을 따다가 다양하게 이용하였다. 찹쌀가루에 얹져 국화전을 만들어 먹고, 말려서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국화차로 마시기도 하였고, 국화주를 만들어 마시고 베게 속에 넣어 두통을 없애기도 하였다. 또한 이 시절 풍성한 과일인 배, 유자 석류 잣 등을 잘게 썰어서 꿀물에 탄 화채(花菜)를 만들어 시절음식(時食)으로 조상에게 차례를 올리기도 하였다. ....중양절의 유래와 의미에서 옮김

 

중양절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습니다

요즘은 불가에서도 중양절은 사찰의 큰행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억울한 죽음을 당하고 구천에서 떠도는 영가를 위한

천도불공의식을 하기도 합니다

 

이번 구구절 가까운 사찰행사에 동참하셔서

 

개인과 가정의  음습한 영가장애를 없애기에 가장 적합한 절기특성-

즉 양기가 중천에 치솟을 정도로 강한 그기운을 받아 영가를 잘 천도 하고자 하는

조상의 지헤와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 가져 보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