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상의 개념

불교에서 예배상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어서 마땅히 구별하여 불러야 함에도 불구하고 별로 구별하지 않고 불상이라 하면 단순하게 법당에 모셔 놓고 신자들이 예배하는 상으로만 알고 있다. 만약 종류를 구별하지 않고 '불상'이라고만 한다면 예배의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상을 통칭하는 말인지 부처라는 특정한 대상만을 가리키는 말인지 분명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엄격하게는 '부처'의 상은 불상이라고 해야 마땅하겠으나 예배의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상을 통칭할 때에는 '불교상'이라고 해야 옳다.



1. 불상의 유형

(1) 여래상(如來像)

진리에 도달한 사람을 '여래(如來)라고 하는데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부처의 상을 말함.

① 석가모니불: 부처의 상

② 비로자나불: 석가의 진신(眞身)을 높여 부르는 말로 '태양'을 뜻함.

③ 아미타불: 극락의 세계에서 법(法)을 설한다는 부처로 시공을 초월한 광명의 상징.

④ 약사여래불: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등의 일을 하는 부처.

⑤ 미륵불: 석가불에 이어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

⑥ 노사나불: 오랜 수행으로 무궁무진한 공덕을 쌓고 나타난 부처.

⑦ 연등불: 불교에서 과거 불.

⑧ 방위불: 불교에서 방위신앙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4방불.

⑨ 천불: 과거, 현재, 미래에도 무한한 부처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가진 불.

(2) 보살상(菩薩像)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사람을 '보살(菩薩)이라 함.

① 문수보살: 지혜를 상징

② 보현보살: 실천의 보살로 문수보살과 더불어 비로자나 불이나 석가여래의 양협시 보살.

③ 관음보살: 중생을 구제하여 안락함과 기쁨을 주는 보살. 보통 연꽃이나 정병을 가짐.

④ 대세지보살: 위압적인 세력으로 아미타여래 우협시 보살로 등장하며 보병을 가짐.

⑤ 일광·월광보살: 약사여래의 양협시 보살로서 일광보살은 해를, 월광보살은 달을 뜻함.

⑥ 미륵보살: 현재 성불을 수행하고 미래에 중생구제를 위하는 미래불.

⑦ 지장보살: 미륵불이 오실 때까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보살. 보통 민머리나 두건을 쓴 모습이며 석장과 보주를 지님.

⑧ 제(諸)보살: 수많은 보살들이 있어 팔만 사천보살이라 표현하기도 함.

(3) 천부신장상(天部神將像)

부처를 보좌하고 중생들을 이롭게 하는 수많은 신. 대게 인도 재래의 신들과 우리나라나 중국의 재래 신들이 흡수되어 불교화 시킨 것이 많음.

① 인왕상: 문을 지키는 수문장 구실을 하는 신. 반나체. 권법을 짓거나 금강저를 가짐.

② 제석·범천상: 제석은 금강저를, 범천은 정병을 쥐고 있음

③ 사천왕상: 전실(煎室)과 주실(主室)을 잇는 통로 좌우에 있음. 동방 지국천, 북방 다문천, 남방 증장천, 서방 광목천

④ 나한조사상(羅漢組師像): 나한은 석가부처님을 믿고 따르는 제자들이며 조사는 각 종파를 창시한 사람이나 종파의 지도자들을 이르는 말이다.



2. 대표적인 불상의 형식

① 육계: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튀어나온 부분으로 부처의 지혜를 상징.

② 나발(螺髮):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

③ 백호(白毫):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오른쪽으로 말려서 나나 희고 부드러운 털.

④ 삼도(三道): 불상의 목 주위에 있는 3개의 주름.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

⑤ 보관(寶冠): 보석으로 장식된 관을 뜻하지만 불상의 머리 위에 엊은 관을 의미.

⑥ 광배(光背): 불, 보살에서 발하는 빛을 조형화 한 것. 두광. 신광.



⑦ 수인

· 선정인(禪定印): 석가모니가 깊은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취한 첫 수인.

· 시무외인(施無畏印): 부처가 중생의 모든 두려움을 없애고 위안을 주는 수인.

· 여원인(與願印): 부처가 중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다 들어준다는 의미의 수인.

· 통인(通印):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합친 것으로 더 많은 자비를 베품을 의미하는 수인.

·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부처가 깨달음에 이르는 순간을 상징하는 수인

· 지권인(指拳印):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



· 전법륜인(轉法輪印): 부처의 최초 설법의 수인으로 법륜(法輪)-석가의 가르침- 상징.

· 합장인(合掌印): 보통 예배를 드리거나 제자와 문답할 때 취하는 수인.

· 약기인(藥器印): 병을 없애준다는 의미로 손에 약사발을 들고 있음

·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 중생들의 성품에 맞게 설법을 한다는 뜻.(아미타 9품)


· 천지인(天地印): 주로 탄생 불이 취하는 수인.

⑧ 지물

· 보주(寶珠):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구슬.

· 불자(拂子): 마음의 티끌이나 번뇌를 털어 내는 데에 사용하는 불구(佛具)

· 금강서(金剛杵): 창과 같은 형태의 무기로 모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의미.

· 정병(淨甁): 깨끗한 물이나 감로수(甘露水)를 담는 병.

· 경책(警策): 좌선할 때 졸음이나 잡념을 쫓기 위해 사용하는 넓적한 막대기.

· 염주(念珠): 염불하는 수를 세는데 사용하는 불구.

· 석장(錫杖): 둥근 고리가 달린 지팡이.

⑨자세

불상은 자세에 따라 입상, 좌상, 와상(臥像)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좌상은 결가부좌, 반가부좌, 유희좌, 윤왕좌, 의좌, 교각좌 등으로 다시 분류된다.

·결가부좌(結跏趺坐)

부처가 좌선할 때 취하는 편안한 자세. 금강좌(金剛坐), 선정좌(禪定坐), 여래좌(如來坐)라 고도 한다. 여래가 주로 취하는 자세로 길상좌(吉祥坐)와 항마좌(降摩坐)의 두 형식이 있는 데 전자는 부처가 보리수 밑에서 좌선할 때 취한 자세.

·반가부좌(半跏趺坐)

보살상이 많이 취하는 자세. 반가좌(半跏坐) 또는 보살좌(普薩坐)라고도 한다. 결가부좌에 서 한쪽의 다리를 푼 자세라는 뜻에서 나온 이름으로 결가부좌한 위쪽의 다리를 젋적다리 밑으로 넣고 오른쪽 또는 왼쪽의 한 발만을 다리 위에 얹은 것이다.

·유희좌(遊戱坐)

한쪽다리는 결가부좌하여 대좌 위에 얹고 다른 다리는 아래로 늘어뜨린 자세. 다리의 위치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오른쪽 다리를 내린 것은 우서상(右舒相)이라고 하는 반 면에 왼쪽 다리를 내린 경우는 좌서상(左舒相)이라고 한다.

·윤왕좌(輪王坐)

한쪽 다리는 결가부좌하고 다른 한쪽 다리는 무릎을 세우고 편안하게 앉아 있는 자세. 전 륜성왕(轉輪聖王)의 좌법으로 왼손은 왼쪽 다리 뒤로 바닥을 짚고 기대어 있는데 반하여 오른손은 무릎 위에 걸치고 있기 때문에 불상의 상체가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의좌(倚坐)

일반적으로 두 다리를 늘어뜨리고 의자나 대좌에 걸터앉아 있는 자세. 이 명칭은 오래된 예가 없어 근대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이 있다.

·교각좌(交脚坐)

의좌(倚坐)에서 약간 변형된 것으로 양 다리를 교차시킨 자세. 인도에서는 천인(天人)과 속인(俗人)이 앉는 방법으로 그 기원이 오래되었으며 간다라 보살상에 그 예가 많이 남아있다.

·열반상(涅槃像)

부처가 열반할 때의 모습으로 두 다리를 가지런히 뻗고 옆으로 누운 자세의 불상. 와상(臥像)이라고도 한다. 이 자세는 석가모니불만이 취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