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불'이란 붓다의 약칭이며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란 뜻이며 여래라고도 한다. 보통 부처라하면 석가모니불을 이르지만 경전에 보이는 부처만 해도 35불, 53불, 1천불, 1만3천불로 표현되어 있어 그 종류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석가모니불
석가족의 성자라는 뜻으로 태자로 태어나 6년의 고행끝에 깨달음을 얻은 고다마 싯달타가 곧 그이다. 인간으로 태어나 생활하다가 부처가 되신 분이므로 응신불이라고도 한다. (인간의 형상으로 태어나지 않은 부처는 법신불이라 한다) 대웅전, 대웅보전에 모셔져 있다.
아미타여래
무량광여래, 무량수여래라고도 하며 서방 극락세계를 다스리며 그의 광명과 자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한한 세계에까지 미치며 그 광명을 받은 사람은 모든 고통이 사라진다고 한다. 극락전, 무량수전에 모셔진다.
비로자나불
대일여래, 마하비로자나여래하고도 하는데 전 우주 어디서나 지혜의 빛을 발하는 참된 부처이며 석가모니는 그 분신으로 태어났다고 믿어진다. 지권인을 하고 있다. 흔히 삼신일체라 하여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노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이 함께 모셔져 있다.
약사여래
동방 유리광세계의 주인이며 대의왕불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재화를 소멸하고 의복, 음식, 음식 등을 만족하게 하는 등의 12대 서원을 세운 부처이다. 손에 약항아리를 들고 있다. 약사전에 모셔진다.
미륵불

석가모니 열반 후 56억 7천만년이 지나면 말세가 오는데 이때 도솔천의 미륵보살이 사바세계 용화수 아래 내려와 미륵불이 되어 석가모니불이 다 구제하지 못한 중생들을 용화 삼회설법을 열어 제도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이상향을 꿈꾸는 미륵신앙이 강하다. 미륵전, 용화전에 모셔진다.

 

보살

 

보살상(菩薩像)
1. 보살의 개념 및 여래상과의 차이점
보살이란 bodhisattva를 번역한 말로서 '보리 즉 깨달음을 탐구하는 자'라는 뜻이다. 석가모니 부처님만을 유일한 부처로 인정하는 남방불교(소승불교)에서는 득도하시기 전의 석가만을 보살로 인정하지만, 북방불교(대승불교)에서는 갠지스강의 모래알처럼 부처님도 많고 보살님도 많다고 하여 '깨달음을 얻고자 노력하는 자'를 모두 보살이라 일컫는다.

북방불교 즉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보살이라 함은 자신의 깨달음만을 추구할 뿐만이 아니라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자 노력하는〔上求菩提 下化衆生〕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보살의 이상적인 길을 실천하는 방법이 육바라밀(六波羅密)과 사홍서원(四弘誓願)인 것이다.

우리가 대하게 되는 보살상이 여래상과 외관상의 차이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 첫째, 머리에 나발(螺髮)이 없고 대신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 둘째, 목에는 목걸이를, 팔에는 팔찌를, 몸에는 영락(瓔珞)이라는 장식을 하는 등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다.
◇ 셋째, 몸에는 천의(天衣)를 걸치고 있다.
◇ 넷째, 대부분의 보살은 독특한 지물(持物)을 들고 있다.

2. 보살의 종류
보살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으나 여래가 되기를 보류하고 현세에 남아 모든 중생과 함께 성불하기 위하여 비장한 각오로 실천 행을 닦는 존재다.
보살의 종류는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우리에게 많이 불리우고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보살은 그리 많지 않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관자재(觀自在)·관음(觀音 또는 聖觀音)·관세자재(觀世自在)·광세음(光世音) 등으로 번역되는 보살로서, 중생들이 어려움에 처할 때 한마음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그 소리를 듣고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서 어려움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여 안락함과 기쁨을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친근함을 가진 신앙의 대상이 되어 '관음신앙'이 유행하였다.
관음보살은 변화상이 많아 관음보살이라 불리는 외에 천수관음(千手觀音),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양류관음(楊柳觀音), 백의관음(白衣觀音), 준지관음(准 觀音) 등 33관음까지 있으며 단독상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아미타여래의 좌협시보살로서 우협시보살인 대세지보살과 함께 아미타삼존으로 조성되기도 한다.
상의 특징은 머리에 쓴 보관에 화불(化佛)이 나타나며 손에는 연꽃이나 정병을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관음보살을 모시는 전은 원통전(圓通殿)·원통보전(圓通寶殿)·관음전(觀音殿)·관음보전(觀音寶殿) 등으로 불린다.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세지(勢至)보살·득대세(得大勢)보살 이라고 번역되는데 위압적인 세력으로서 관음보살과 대칭으로 사용되며, 단독상은 없고 관음보살과 함께 아미타여래의 우협시보살로 등장하며 고려시대 후기가 되면 특히 불화에서 대세지보살 대신 지장보살이 협시보살로 등장하기도 한다. 상으로 조성될 때는 보관에 보병(寶甁)을 가지고 있어 관음보살의 화불과 구별된다.
지장보살(地藏菩薩)
땅과 같이 세상 만물의 출발점이면서 고르게 자라도록 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뜻이다. 이 보살은 석가모니께서 열반하신 다음 56억 7천만년 후에 미륵불이 오실 때까지의 기간 동안 일체의 중생을 구제하도록 의뢰 받은 보살이다. 몸을 변화하여 육도(六道)의 윤회의 굴레에서 헤매는 중생들을 모두 구제하기로 서원하신 보살이시다.
상으로의 특징은 머리에 보관 대신에 민머리 또는 두건을 쓴 모습이며 석장(錫杖)이나 보주(寶珠)를 들고 있어 보살상이면서도 한편 여래상으로 착각하기 쉬운 상이다. 지옥의 중생들을 구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지장보살은 단독으로 모시는 경우, 아미타여래의 삼존으로서 우협시보살인 대세지보살 대신인 경우,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의 삼존상인 경우, 지장보살과 시왕(十王)을 모시는 경우 등이 있다.지장보살을 모신 전은 지장전(地藏殿), 명부전(冥府殿) 등으로 불린다.
미륵보살(彌勒菩薩)
자씨(慈氏)라고도 번역되는데 현재는 도솔천(兜率天)에서 성불하기 위해 수행하고 있으며 석가부처님 이후 56억 7천만년 후에 사바세계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3번〔彌勒三會 또는 龍華三會〕에 걸쳐 중생구제를 위한 법회를 연다고 하는 미래불(未來佛)이므로 조선시대에는 대웅전에 과거·현재·미래의 삼세불 중의 한분으로 조성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미륵보살은 삼국시대부터 많이 신앙되어 상으로 조성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유명한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같은 보살상으로 조성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부처상을 미륵불이라 하여 여래상으로 조성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상을 모시는 전을 미륵전(彌勒殿)·용화전(龍華殿) 등으로 부른다.
문수보살(文殊菩薩)
만수사리(曼殊師利) 또는 묘길상(妙吉祥)·묘덕(妙德)으로 번역되는 보살로서, 부처님의 대리로 유마힐을 문병하여 지혜를 다투거나 선재동자가 선지식을 구하는 등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비로자나여래나 석가여래의 좌협시보살로 등장하나 단독상으로 조성된 예는 드문데 밀교계통에서 문수원의 금색문수동자상(金色文殊童子相)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보현보살(普賢菩薩)
문수보살과 더불어 비로자나여래나 석가여래의 양 협시보살로 등장하면서 지혜의 문수에 대비하여 신행·실천의 보살로 등장한다.
일광보살(日光菩薩)·월광보살(月光菩薩)

동방유리광세계의 주존이신 약사여래의 양협시보살로서 일광보살은 해를 상징하는 적홍색을, 월광보살은 달을 상징하는 백홍색을 보관이나 손바닥에 나타내어 약사삼존으로 조성되었다.

 

3. 수인과 계인

 

부처의 손, 손가락의 모습을 수인이라 하는데 인을 결하는 상은 서원에 따라 다르므로 그 종류가 대단히 많다. 보살은 통인의 수인을 결하기도 하나 보통 특정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계인이라 한다. 수인과 계인은 불상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기본이 되기도 하나 꼭 이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는 없다. 미타정인을 하고 있더라도 미륵전에 모셔져 있고 민중들이 미륵불로 모시면 아미타불이 아니라 미륵불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으며 삼신은 일체이므로 그런 구분 자체가 필요없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있다.
① 지권인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결인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오른손은 불계를 표하고 왼손은 중생계를 표한 것이므로 이 결인으로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미와 오가 일체인 깊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② 항마촉지인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결인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오른손은 불계를 표하고 왼손은 중생계를 표한 것이므로 이 결인으로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미와 오가 일체인 깊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③ 여원인과 시무외인
여원인은 일체 중생의 소원을 만족시키는 것을 상징하는 수인으로, 한쪽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드리우는 형상이다. 만일 손을 안쪽으로 향하여 드리우면 촉지인이 된다. 다른 한 손의 시무외인은 부처님이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는 수인으로 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이다.
④ 전법륜인(길상인)
설법인의 하나로서 부처님이 손을 들어서 녹야원에서 설법하던 때의 결인으로 두 손의 형상이다. 엄지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맞대고 왼손 새끼손가락 밑을 바른손의 손가락 맞댄 곳에 가져다 댄 모습이다.
⑤법계정인(선정인)
두 손을 포개어 무릎 위에 얹어 놓되, 두 엄지손가락을 서로 맞대고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놓는 인상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선정에 들거나 제자들이 수행 정진할 때 취하는 모습이다.
⑥설법인
설법인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그 가운데 하나로 두 손의 등을 맞대어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은 서로 얽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돌려 오른손의 손바닥에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맞댄 인상이다.
⑦합장인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인의 인사법과 유사한데, 보통은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는 모양이다.
⑧ 연화합장인
연화합장인이란 두 손의 열 손가락을 세워서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는 합장으로, 그 모양이 연꽃의 봉오리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음을 연꽃과 같이 번뇌에 물들지 않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법식을 행할 때 처음에는 이러한 결인을 한다.
⑨ 금강합장인
금강장, 귀명합장이라고도 한다. 12합장의 하나로 열 손가락을 합하여 그 첫마디를 교차하여 세운 것이다. 이것은 행자가 본존에 대하여 공경 공양하며 견고한 신심을 나타내는 결인이다
⑩금강권인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에 넣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싸쥐는 것으로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 수인이다. 양부 중에는 금강계에 속하고, 이지 중에는 지를 표하여 금강같이 견고함을 가리킨 것으로 이렇게 이름하였다.
⑪아미타정인(九品印)
미타정인은 아미타불의 수인인데, 이것은 구품인이라 하여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아홉 가지의 차별을 의미하는데, 상품, 중품, 하품을 각각 상, 중, 하 로 세분한 아홉 가지이다.
●주제에 따른 전각의 존상과 탱화●
전 각
불상(존상)
불 화(탱화) 내 용
大 雄 殿
大雄寶殿
석가여래
삼세여래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
석가모니후불탱화,
영산호상도,
신중탱화, 지장탱화,
삼장탱화, 감로탱화,
삼불회도(삼세불화)
석가모니부처님을 중심으로 직접 연관되는 각종의 내용들을 형상화 하여 봉안하였다.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셨던 장면이 바로 영산회상도의 내용이다.
捌 相 殿
靈 山 殿
석가여래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석가모니후불탱화
팔상탱화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의 일대기를
팔상으로 묘사하여 모셨다.
1. 도솔래의상, 2. 비람강생상,
3. 사문유관상, 4. 유성출가상,
5. 설산수도상, 6. 수하항마상,
7. 녹원전법상, 8. 쌍림열반상
大寂光殿
華 嚴 殿
毘 盧 殿
大光明殿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삼신불탱화
(법신, 보신, 화신)
7처9회 화엄변상도
진리 그 자체로서 우주의 본체인 진여
상 등의
법신 비로자나부처님을 중심으로
보신 노사나불과 화신 석가모니불을 모셨다.
極 樂 殿
阿彌陀殿
無量壽殿
壽 光 殿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지장보살)
아미타후불탱화
16관경변상도
아미타래영도
극락회상도
서방극락정토의 주불로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혹은 지장보살)을 거느리고 중생들의 무량수명과 광명을 보장하며 왕생극락을 보살펴 주시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셨다.
藥 師 殿
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
약사여래후불탱화
동방 약사우리광세계의 주불로서 질병 치료와
수명 연장, 재앙 소멸등을 통해 중생들을 제도하시는 약사여래부처님을 모셨다.
龍 華 殿
彌 勒 殿
미륵불
법화림보살
대묘상보살
미륵용화정토탱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고 56억 7천만년 후 사바세계에 출현하여 중생들을 구제하기로 예정된 미륵부처님을 구현하여 봉안하였다.
千 佛 殿
佛 祖 殿
53불
천불
삼천불
53불탱화
천불탱화
삼천불탱화
불교의 다불(多佛)사상에 입각하여 온 우주에 두루 주재하시는 모든 부처님들을 상징적으로 모셨다.
圓 通 殿
觀 音 殿
관세음보살
남순동자
해상용왕
성관음도
백의관음도
천수관음도
11면관음도
항상 중생들의 소리를 들으시고 관찰하시어, 온갖 고통에서 구제해주시는 대자재비의 관세음보살을 구현하였다.
冥 府 殿
地 藏 殿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
지옥10왕
판관, 녹사,
사자, 귀왕,
나찰, 장군,
동자
지장탱화
지장10왕도
시왕지옥도
감로탱화(영단)
석가모니부처님이 입멸하신 후 미륵부처님이 출현하실 때까지 6도에 몸을 나타내어 모든 지옥중생을 구제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한 지장보살을 모셨다.
또한 지옥의 10왕이 주제하는 지옥도와 극락왕생을 구현한 감로탱화등이 포함된다.
應 眞 殿
羅 漢 殿
석가모니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16나한
5백나한
석가모니후불탱화
16나한도
5백나한도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번뇌를 멸하고 세간에서 교법을 수호하고자 서원한 16불제자와 아리한과를 증득했던 500명의 성자들을 모셨다.
祖 師 殿
佛 祖 殿
조사상
33조사
진영탱화
(조사,국사,율사,선사)
해당 사찰의 역사 등과 관련하여 커다란 업적을 남긴 역대의 큰스님들의 영정이나 존상을 모셨다.
山 神 閣
산신
산신탱화
우리나라 전통신앙이 불교에 유입되면서 들어온 산신령을 모셨다.
七 星 閣
치성광여래불
일광보살
월광보살
칠성탱화
칠성여래도
각부탱화(칠원성군)
도교에서 불교에 유입되어 인간의 길·흉·화·복을 말한다고 하는 북두칠성을 모셨다.
獨 聖 閣
나반존자
독성탱화
말세에 중생들이 의지할 복전이라 신앙되는 분인데, 16나한중의 한 분으로 본래의 이름은 빈도라발라사이며, 깍은 흰 머리카락과 긴 눈썹의 용모가 특징적으로 표현된다.
鐘 閣
범종, 법고,
운판, 목어
(불교의 4물)
범종:지옥중생을 제도
법고:축생을 제도
운판:날짐승을 제도
목어:물고기를 제도
金 剛 門
금강역사
문수, 보현 동자
문지기 그림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여 불교를 수호하기로 서원한 고대 인도신화의 두 신을 모셨다.
좌측:밀적금강, 우측:나라연금강
天 王 門
사천왕
사천왕 탱화
욕계 6천의 4방을 다스리며 불법을 수호하는 천왕들을 모셨다.
동방:지국천왕,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

 

+ Recent posts